ader Life 햄버거 메뉴

목차

    320x100
    반응형

    실생활에 근접한 3D 프린트 기술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덩치 크고 비싸서 공장이나 연구소에만 있었던 3D 프린터도 소형화 경량화되고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일반인들도 3D 프린터를 구매해서 이런저런 생산품을 만들어 사용하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보는 요즘입니다. 피규어를 만들거나 보관함, 공구 등을 만들어서 실제 사용하기도 합니다. 저와 친분이 있는 에어 소프트 건 전문 유튜버 노멀슈트 같은 경우도 한 번씩 총기류(실제 아님 주의)를 3D 프린터를 이용해서 제작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이전보다는 좀 더 친숙하게 우리에게 다가온 3D 프린터이고 3D 프린트 기술이지만, 그것들은 대부분 나름 견고하게 고형화한 외형을 가진다는 게 일단 드는 생각일 것입니다. 처음 3D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소재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었습니다. 얼마나 딱딱하고 부드럽냐에 따라 조금씩 선택의 폭이 있었지만 선택의 폭이 넓지 않은 만큼 결과물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죠. 요즘은 플라스틱만이 아니라 금속과 세라믹 등도 3D 프린터의 잉크로 사용할 수 있고, 우리가 먹는 음식도 3D 프린터를 이용해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초기 푸드 3D 프린터는 초콜릿 원료를 녹여서 내가 원하는 모양으로 출력하는 것이었다면, 요즘은 고기 세포를 이용해서 고기를 만들어 먹기까지 한다고 합니다.

     

     

    3D 니트웨어

    3D 니트웨어

    플라스틱 실을 녹이고 이를 쌓아나가는 방식으로 만드는 게 기본인 3D 프린터이다보니 하늘하늘 바람에 날리는 옷을 만든다는 것에 의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New Industrial Order의 설립자인 Rosanne van der Meer는 "3D프린터는 기계가 3차원 물체를 만들고 레이어별로 쌓아 올리는 것인데 이는 니트를 제작하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렇다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게 아닌 편직기를 이용한다는 점은 짚고 넘어가야 하고, 우리가 착용하는 모든 의류를 전부 만들어낼 수도 없으며(소재의 한정으로 인해 3D 니트웨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질감도 조금은 다르다는 점을 어쩔 수 없는 차이점이라고 봐야겠습니다. 3D프린터 기술을 이용한 의류 생산은 전통적인 의류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오염요인(폐수, Co2 발생)이 크게 줄고, 재료 낭비도 30% 줄어드는 등 장점도 분명 존재합니다.

     

     

    재활용 가능한 3D 프린트 신발

    아디다스, 리복, 뉴발란스에서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신발 일부를 디자인하는 회사입니다. 이런 대형 회사들뿐이 아닙니다. 3D프린터를 이용한 신발 생산을 하는 HILOS는 3D 프린팅과 가죽 세공을 결합하여 신발을 만듭니다. HILOS가 내세우는 강점은 100% 재활용이 되는 굽 신발 컬렉션이며, 기존 공급망에서 벗어난 완전 주문형 신발입니다.

    01
    3D 프린트 신발

    개인 한 사람 한 사람에 맞춰 제작되는 3D 프린트 신발은 신제품 라인 출시 주기가 2주로 짧고(업계 평균은 12~15개월) 디자인이 균일하지 않기에 편안하고 내구성 높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합니다. 이 회사는 3D 프린트 재료로 TPU를 사용하는데 이는 강도와 유연성이 신발 용도로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환경보호에도 도움 되는 3D 프린터

    제라미 루카스(프랑스)라는 32세의 기업가이자 서퍼가 이끄는 프로젝트 Paradoxal Surfboards는 해양에서 발견되는 폐기물들을 이용해서 스포츠 장비를 제조합니다.

    012
    해양 폐기물로 제작되는 서핑보드

    제라미 루카스는 현재는 재활용된 어망으로 서핑보드를 제작하는 것을 연구하고 있으며, 녹조를 포함한 해양 폐기물을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면 해변 플라스틱으로 보드를 만들게 되지 않을까라고 이야기합니다.

     

     

     

     

    식품 생산 공장에도 3D프린트 기술 적용

    3D 프린터 기술은 비단 무엇을 만들어내는 것만이 아닙니다. 적층 방식을 이용하는 3D 프린터이다보니 현재 제작되는 결과물에 대한 감지기술도 필수인데, 이 기술을 이용하여 식품 생산 공장에서는 불량품을 식별해내기도 합니다. 이는 제조 품질 개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기도 합니다.

    식품 생산 공장에 적용된 3D 프린트 기술

     

    반응형
    댓글
    위쪽 화살표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과 댓글을 부탁드려요.
    로딩바